아름답고 행복하게 늙어가기(1)

김요한

전남희망신문 기자 승인 2019.12.16 10:43 의견 0

나이가 듦과 늙어감은 누구도 피할 수 없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 행복 시대는 과연 가능한 것일까...

사람의 연령에는 크게 자연 연령, 건가 연령, 영적 연령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한다.

영국의 심리학자 ‘브롬디’는 인생의 4분의 1은 성장하면서 전신 연령과 영적 연령을 승화시키며 보내고, 나머지 4분의 3은 늙어가면서 자연 연령과 건강 연령을 채우며 보낸다고 했다.

성장하면서 보내든, 늙어가면서 보내든 인생길은 누구에게가 앞을 보면 까마득하고 뒤를 보면 허망하다.

어느 시인은 그래서 인생을 정의하기를 예습도 복습도 없는 단한번의 인생길이라 하였다.

가고 싶은 길도 있고, 가기 싫은 길도 있고, 가서는 안 되는 길도 있지만 내 뜻대로 안 되는게 인생길인 것을 누구나 동의할 수밖에 없다.

사실 사람이 사람답게 늙고, 사람답게 살고, 사람답게 죽는 것이란 바램이며 쉽지가 않다.

그러나 어려운 인생길까지도 멋지게 헤쳐나가는 사람도 적지 않다. 잘 준비하고 준비된 것에 최선을 다하며 열정을 쏟아부으며 사는 사람들이다.

사람이 사람답게 늙은것의 근본은 열정이 식지 않은 삶이다. 행복하게 늙기 위해서는 먼저 노년의 품격을 잃지 말아야 한다.

노년의 품격은 풍부한 경륜을 바탕으로 노숙함과 노련함을 갖춤으로 형성된다. 노년의 삶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매사에 자신의 존재감을 잃어가면서 형성된다.

그러나 노년은 지성과 영혼이 최절정의 경지에 이르는 황금기임을 인식해야 한다.

대중가요에 나이 듦을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예쁘게 익어가는 것이라 표현했듯, 나이 듦은 과실이 수확기를 향해 맛이 들며 탐스럽게 익어가는 것이어야 한다.

산행과 명상, 클래식 음악과 독서 같은 신령한 품성이나 성질을 가꿔가는 생활의 여유를 온몸으로 즐겨야 한다.

최고의 노후는 열정이 식지 않음은 물론 그 열정으로 무엇을 꿈꾸냐에 달려 있다. 어찌 보면 노년은 자유롭다. 태어나서 처음 맞이하는 나만의 자발적인 시간이다.

주위에 구애받지 않아도 되는 자유이다. 여유작작하고 여유 만만한 여생이 시작된 것이다.

문제는 그 자유로움에 무엇으로 채우느냐에 있다. 경륜과 품격이 따른 열정이다.

노련함과 달관이 살아 숨 쉬는 풍요한 열정이다.

늙는다는 것은 주름살이 느는 것이 아니라 열정이 식어가는 것이라 했다. 흔히 ‘노년 사고’라는 말이 있다. 빈고, 고독고, 무위고, 병고 등이 그것이다.

가난과 외로움과 할 일 없고 건강하지 못함이다. 이중 노후의 병고만큼 힘든 일은 없다. 병고는 가족과 이웃까지 불행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건강이 제일이고 건강해야 한다는 것이다. 건강은 철저히 자기 몫이다. 자기 스스로 지켜야 한다. 식생활, 생활습관, 운동, 정기 검진 등 남이 대신해 줄 수 없는 것이 건강 지킴이다. 매사에 절제된 생활도 건강의 비결이다.

그러나 노년의 사고는 열정을 상실한 대가임을 알아야 한다. 열정을 잃지 않고서는 노후 빈고, 고독고, 무위고, 병고 등이 감히 끼어들 틈조차 없는 것이다.

노년기에 열정이 식지 않으면 오히려 인생의 위대한 업적을 남길 수있는 기회가 된다.

세계 역사상 최대 업적의 35%는 60~70대에 의하며, 23%는 70~80세 노인에 의하여, 그리고 6%는 80대에 의해 성취되었다.

결국, 역사적 업적의 64%가 60세 이상의 노인들에 의하여 성취되었다.

‘소포클레스’가 클로노스의 에니푸스를 쓴 것은 80대 였으며, ‘괴테’가 파우스트를 완성한 것도 80세가 넘어서였다.

‘칸트’는 57세에 순수이성비판을, 미켈란젤로는 로마 성베드로 대성전의 돔을 70세에 완성했다. 베르디, 하이든, 헨델 등도 고희의 나이를 넘어 불후의 명곡을 작고했다.

또 한 행복하게 늙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간관계가 중요하다. 모름지기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이다.

나이 들어가면서 초라하지 않으려면 대인관계를 잘해야 한다. 인간관계를 ‘나’중심이 아니라 타인중심으로 가져가야 한다. 나보다 상대방을 우선하는 것은 좋은 인간관계의 핵심적 비결이다.

나이 들면서 사람은 자기 고집이라는 것이 생기고 이로서 이기적 성향이 강해진다. 노욕이 생기고 모든 것을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한다.

또는 우명론적 생각이 지배하는 페이탈리즘(운명론)에 빠질수도 있다. 이런 사람의 대인관계는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다.

결국 인간관계는 중심축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 김요한

저작권자 ⓒ 전남희망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